적용사례        

환자와 의료진 모두에게
최상의 만족감을 선사하는 의료기기

상처정보

상처치유단계

사람의 피부 조직이 어떤 원인으로든 손상을 입게 되면 상처를 치유하기 위한 반응이 곧장 시작되는데 이는 상처의 치유 형태와 상관없이 모든 상처에서 일어나는 과정입니다. 각 반응을 단계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1. 염증단계상처가 생기면 상처 주위 손상된 혈관에 있는 세포들(혈소판, 백혈구, 대식세포 등)이 활성화되어 세균과 이물질, 괴사조직 등을 제거하고, 또 이들 세포에서 여러 가지 활성 물질들이 분비되어 상처 주위 피부 세포들을 자극합니다.

2. 증식단계세포질과 세포의 기질들이 증식하는 단계로 주로 콜라겐 합성을 하는 단계입니다.

3. 성숙단계상피화 단계와 증식단계를 거쳐 형성된 반흔 조직 내에 교원질 생성과 분해사이의 균형을 맞추어 가는 단계입니다. 수개월에서 수년간 지속됩니다. 위 반응들은 하나하나 따로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명확한 구분 없이 중첩되어 일련의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적용상처 종류

  • 수술 상처수술을 위해 절개된 상처

  • 절상끝이 예리한 물체(칼, 유리, 파편 등)에 의해 피부가 잘려 생기는 상처

  • 열상외부의 힘에 의해 피부가 찢어져 생기는 상처

봉합의 종류

  • 바늘, 실깊은 부위나 얕은 부위 모두 봉합이 가능하며 가장 널리 이용되나 추가 제거 시술이 필요하고 침습적인 방법으로 인한 흉터와 통증이 동반되며 감염의 위험이 있음.

  • 테이프상처를 붙일 때 큰 힘이 필요하지 않은 부위에 적당하며 상처를 붙이는 과정에 추가로 흉터가 발생하지 않으나 소독이 불가능 함.

  • 스테이플상처가 재빨리 봉합할 수 있어서 긴 상처에 주로 사용됨
    추가 제거 시술이 필요하고 침습적인 방법으로 인한 흉터와 통증이 동반되며 감염의 위험이 있음

  • 본드피부조직에 주는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으나 피부를 붙이는 힘이 약하고 알레르기가 발생하기 쉬움.

감염의 위험 최소화, 흉터와 통증없는 의료용봉합유지기Foldable skin closure

피부조직에 주는 자극을 최소화하고 비침습적인 방법으로 흉터와 통증이 없으며 감염의 위험이 적음. 하이드로콜로이드의 신축성으로 큰 힘이 필요한 부위에도 사용이 가능함.

더 자세히 알아보기